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bool cmp(vector<int>& vecFirst, vector<int>& vecSecond)
{
if (vecFirst.size() >= vecSecond.size())
return false;
else
return true;
}
vector<int> solution(string s)
{
// s -> int 배열 -> answer
vector<int> answer;
vector<vector<int>> vecArray = {};
// 시작 전에 배열 넣어준다.
vecArray.push_back({});
vecArray[0].push_back({ 0 });
int iNumber = 0;
int iSecondNumber = 0;
for (int i = 0; i < s.size(); ++i)
{
// 닫을 때마다 새로운 배열을 추가해준다 마지막 두개 빼고
if (s[i] == '}' && i < s.size() - 2)
{
++iNumber;
iSecondNumber = 0;
vecArray.push_back({});
vecArray[iNumber].push_back({ 0 });
}
// 배열안의 ,이 체크가 되면 이중 배열 안의 수를 추가한다
// 중간의 ,은 앞에서 }에서 체크하기 때문에 제외하고
if (s[i] == ',')
{
if (i > 0 && i < s.size() - 1)
{
if (s[i - 1] != '}')
{
++iSecondNumber;
vecArray[iNumber].push_back({ 0 });
}
}
}
// 숫자가 연속 된다면 자리수에 맞춰서 10을 곱해준다
if (s[i] >= '0' && s[i] <= '9')
{
vecArray[iNumber][iSecondNumber] *= 10;
vecArray[iNumber][iSecondNumber] += s[i] - '0';
}
}
// 크기에 따라 sort
sort(vecArray.begin(), vecArray.end(), cmp);
// 배열에 아무것도 없지 않다면 for을 실행하기 위해 넣어준다.
if (vecArray[0][0])
answer.push_back(vecArray[0][0]);
for (int i = 0; i < vecArray.size(); ++i)
{
for (int j = 0; j < vecArray[i].size(); ++j)
{
for (int z = 0; z < answer.size(); ++z)
{
// 같다면 아예 for break
if (vecArray[i][j] == answer[z])
break;
// 마지막까지 같은 게 없다면 추가한다
else if (z == answer.size() - 1)
answer.push_back(vecArray[i][j]);
}
}
}
return answer;
}
'오늘의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++]2017 카카오코드 본선 리틀 프렌즈 사천성(프로그래머스 3레벨) (0) | 2022.02.22 |
---|---|
[C++]2017 카카오코드 예선 브라이언의 고민(프로그래머스 3레벨) - 실패 (0) | 2022.02.21 |
[C++]2020 카카오 인턴십 수식 최대화(프로그래머스 2레벨) (0) | 2022.02.18 |
[C++]2021 카카오 채용연계형 인턴십 거리두기 확인하기(프로그래머스 2레벨) (0) | 2022.02.17 |
[C++]2018 KAKAO BLIND RECRUITMENT[1차] 뉴스 클러스터링 (0) | 2022.02.16 |